304 |
마주리 (2019). 미술치료가 고립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단일 사례연구. 아동복지연구, 17(1), 39-68.
|
관리자 |
2019-07-09 |
14 |
303 |
김기선, 남궁기순, 김준경 (2019). 유아 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자기조절력이 유아 문제행동지도 전략에 미치는 영향. 아동복지연구, 17(1), 19-37.
|
관리자 |
2019-07-09 |
6 |
302 |
김사라형선 (2019).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완과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조절효과. 아동복지연구, 17(1), 1-18.
|
관리자 |
2019-07-09 |
6 |
301 |
김담이, 강현아 (2018). 가정외보호 아동의 양육자 관계와 교우관계의 상호 영향: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한 종단연구. 아동복지연구, 16(2). 109-135.
|
관리자 |
2019-04-30 |
11 |
300 |
이미애, 서혜전 (2018).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부모-자녀관계, 또래애착이 휴대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-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. 아동복지연구, 16(2), 87-107.
|
관리자 |
2019-04-30 |
6 |
299 |
김현자, 이 영 (2018). 영유아 교사의 안전교육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. 아동복지연구, 16(2), 67-85.
|
관리자 |
2019-04-30 |
6 |
298 |
장은정 (2018). 아동의 공감능력, 또래관계,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연구: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검증. 아동복지연구, 16(2), 47-66.
|
관리자 |
2019-04-30 |
12 |
297 |
김은주, 홍은주 (2018). 초등학생의 등교거부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체벌, 학교체벌, 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. 아동복지연구, 16(2), 25-45.
|
관리자 |
2019-04-30 |
15 |
296 |
신근화 (2018). 청소년의 가정 내 사회적 자본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. 아동복지연구, 16(2), 1-23.
|
관리자 |
2019-04-30 |
11 |
295 |
송효현 (2018). 유아기질, 어머니의 행복감 및 가족건강성이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. 아동복지연구, 16(1), 83-100.
|
관리자 |
2019-04-30 |
11 |